본문 바로가기

미국 주식/미국 기업 실적164

[미국 주식] 츄이 Chewy 반려동물과 전자상거래 반려동물 시대 반려동물에 대한 가치관이 계속해서 개선돼감에 따라 국내 반려동물 시장 규모도 꾸준히 성장하고 있습니다. 국내 뿐 아니라 서구사회의 반려동물 문화는 예로부터 당연스러웠고 반려동물 시장 규모 또한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데요. 위 자료에 따르면 반려동물 관련 산업의 규모는 2019년 750억달러에 육박합니다. 가장 큰 규모는 펫푸드로 이는 한국에서도 심심치 않게 체감할 수 있습니다. 바로 스타벅스, 쉑쉑버거, 버거킹 등 프랜차이즈 매장에 가면 애완동물 음식을 판매한다는걸요. 이처럼 사람들의 소득수준이 증가하고 반려동물 또한 가족이라는 가치관이 많아져 동물들에 대한 지출도 아낌없이 증가하는 모습입니다. 지난 핀터레스트 실적분석에서 눈에 띄는 자료중 하나가 바로 핀터레스트 트렌드 100 이었는데요... 2020. 4. 3.
[미국 주식]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데이터센터 수요 폭증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실적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한국에서도 주식좀 한다하면 잘 알려진 기업이죠. 왜냐면 바로 삼성전자, SK하이닉스와 경쟁관계에 있는 미국의 메모리반도체 기업으로 서로의 실적을 보아 메모리 업종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기때문인데요. 마이크론 테크놀로지의 실적을 바로 살펴보겠습니다. 매출 : $4.8B vs $4.6B (컨센서스) EPS : $0.43 vs $0.37 (컨센서스) 마이크론 테크놀로지의 매출은 기존 가이던스 상단을 달성했고 EPS 또한 기존 가이던스 상단을 크게 상회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허나 전년도 메모리 호황때에 비하면 여전히 메모리 슈퍼 싸이클은 돌아오지 않았고 오히려 지난 분기보다도 실적이 악화되었습니다. 매출은 감소하였으나 그래도 마진율이 개선되어 영업활동 현금흐름은 지.. 2020. 3. 26.
[미국 주식] 나이키 실적 코로나 타격 그러나 세계 최대 스포츠 브랜드 나이키의 실적발표가 있었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하여 상당히 우려가 많았는데요. 우려가 현실화가 되었고 이제는 중국을 제외한 지역이 셧다운에 들어간 상황입니다. 허나 위기는 기회라는 말이 나타나고 있으니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나이키 실적 나이키의 매출과 EPS를 먼저 시장 기대치와 비교해서 살펴보겠습니다. 매출 : $10.1B vs $9.8B (컨센서스) EPS : $0.53 vs $0.59 (컨센서스) 전년 동기 대비하여 5%의 매출 증가를 보였으나 주당순이익은 20%이상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는데요. 매출 같은경우 시장의 기대치를 상회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주당순이익 EPS가 상당히 저조했습니다. 이는 마진율이 높은 사업지역인 중국에서의 매출부진이 순이익 감소를 야기했다고 .. 2020. 3. 25.
[미국 주식] 징동닷컴 JD 호실적 사상최고가를 향한다 중국의 전자상거래 시장 중국이 경제성장을 하며 소득수준이 상당히 높아졌고 이에 따라 소비수준이 많이 올라왔는데요. 중국의 소매판매 시장은 연평균 9.8%의 성장을 해오며 미국의 소비시장을 뛰어넘으려 하고 있습니다. 2019년 기준 중국의 온라인시장 침투율은 20.7%로 향후 성장여력이 여전히 강력합니다. 온라인 시장의 성장은 2021년까지 총 13% 성장할것으로 예측하고 있는데요. 이전의 연평균 32%씩 성장한거에 비하면 적은 수치이지만 이는 기저효과 때문이라 생각합니다. 여전히 전세계적으로 전자상거래 시장은 계속해서 성장하고 있으니 크게 우려할 수치는 아니라 생각되네요. 중국의 아마존닷컴 징둥닷컴 JD.com BAT라 불리우는 Baidu (바이두), Alibaba (알리바바), Tencent (텐센트).. 2020. 3. 3.
[미국 주식] 세일즈포스 CRM 클라우드의 절대강자 CRM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고객관계관리 고객관계관리 CRM 은 경영학을 공부하거나 영업관리직에 종사한다면 들어볼 수 있는 용어인데요. CRM은 기업이 잠재 고객인 소비자들을 자사 고객으로 만드는 경영 과정입니다. 고객과 관련된 데이터를 분석해 고객 중심으로 정보를 극대화하여 각 고객에 맞는 마케팅 활동을 하는 거죠. CRM 개념이 애매모호하고 딱딱할 수 있는데 말 그대로 고객관계관리라는 단어 그 자체의 의미를 갖고 있습니다. 지난주 실적 발표가 있었던 CRM 클라우드의 절대 강자 세일즈포스가 관련 기업인데요. 세일즈포스의 CRM 프로그램을 도입한 기업들은 판매량이 30%가 증가하고, 수주량이 35% 증가하였으며 고객만족과 빠른 의사결정, 매출 다방면이 긍정적으로.. 2020. 3. 1.
[미국 주식] 스퀘어 (SQ) 페이팔보다 Cash app이 핫해 스퀘어(Square) 밀레니얼에게 사랑받는 핀테크기업 전자결제 핀테크 시장은 전세계적으로 엄청난 속도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비자, 마스터카드는 말할것도 없고 페이팔, 스퀘어, 알리페이, 위챗페이, 한국의 Toss 등 정말 각 국가별로도 다양한 핀테크업체들이 존재합니다. 이중에 스퀘어(Square)는 페이팔 다음가는 미국의 전자결제 업체로 인정받고 있는 모습인데요. 스퀘어가 이번에 호실적을 발표했으니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스퀘어는 2009년 트위터의 창업자로 알려진 잭 도시가 창업한 회사입니다. 스퀘어의 사업지역은 미국, 캐나다, 일본, 호주, 영국, 아일랜드 6개국에서 사업을 하지만 매출의 95%는 미국에서 발생하고 있구요. 향후 외형성장을 통한 글로벌화를 추진할 것이라고 경영진은 밝히고있습니다. 미국에.. 2020. 2. 27.
[미국 주식]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 (AMAT) 반도체 제조장비왕 파운드리 업계의 공격적 투자 반도체하면 엔비디아, AMD, 삼성전자, SK하이닉스, 퀄컴, 인텔, TSMC 등 정말 많은 기업이 있는데요. 비메모리, 메모리라는 분류로 나눠보면 인텔, 엔비디아, AMD, 퀄컴은 대표적 시스템 반도체 제조업체이고 삼성전자, SK하이닉스는 메모리 업체로 알려져있죠. 또한 다른 분류방법으로는 Fab과 Fabless로 나눌 수 있겠는데요. Fab은 자사에 반도체 제조 공장을 보유하고 있는 회사이구요. Fabless는 자사 제조 공장 없이 설계를 하고 파운드리 회사에 외주를 맡기는 회사입니다. 대표적 팹리스 회사에는 엔비디아, 퀄컴, AMD 등이 존재합니다. 파운드리업체는 대표적으로 TSMC와 삼성전자가 있는데요. 이들이 팹리스 기업들의 설계도면을 받아 칩을 제조해주고 매출을 취.. 2020. 2. 25.
[미국 주식] 디어앤컴퍼니 DE 美中1차합의 농기계를 사라 미중무역전쟁 1차 합의 작년 12월 13일 미중 1차합의가 있었죠. 주요 합의 내용으로 관세 보류, 지식재산권 침해 금지, 강제 기술 이전 금지, 금융시장 개방 등 다방면의 합의가 있었습니다. 그 중 트럼프 대통령의 핵심 지지층인 농민들을 위한 대규모 농산물 구매가 있었습니다. 합의문에 따르면 중국은 500억달러 규모의 미국 농산품을 구매하기로 약속하였죠. 합의 발표와 함께 트럼프 대통령은 "농민들은 당장 더 많은 트랙터를 사야 할 것" 이라고 트윗을 올렸죠. 트럼프의 말대로 더 많은 트랙터를 산걸까요? 트랙터 기업의 실적이 좋아졌습니다. 세계 최대 농기계 제조회사 - 존 디어 (John Deere) 디어 앤 컴패니, 존 디어는 농업기계, 벌목기계, 도로포장기계, 건설기계를 생산하는 업체입니다. 농업기계.. 2020. 2. 23.
[미국 주식] 도미노피자 DPZ 세계 최대 피자 체인점 세계 최대 피자 프랜차이즈 도미노피자 한번쯤은 다 드셔봤을만한 피자 가게 입니다. 개인적으로 정말 좋아하는 피자 브랜드인데요. 도미노피자는 1960년 도미닉스 피자로 시작하여 1965년 이름을 도미노 피자로 개명하였고 당시에는 폭스바겐의 1세대 비틀을 타고 배달을 하였다고 합니다. 맛이 좋아서 그런걸까요? 도미노피자는 지난 10년간 빅테크기업보다도 뛰어난 주가 상승을 보여주었는데요. 맛도 맛이지만 현재 도미노피자는 서비스와 기술 혁신을 통하여 디지털기업으로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디지털 주문이 전체 주문의 50%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인공지능 자율주행 배송, 드론 배송 등 배송 혁신에도 투자하고 있구요. 세계 최대 피자 프랜차이즈라는 명성답게 현재 90개 이상의 국가에 17,00.. 2020. 2.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