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국 주식298

[미국 주식] 슐럼버거 Schlumberger 최근1년 유가 최저 반등 기대 최근 우한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하여 중국의 공장들이 얼어붙었습니다. 또한 바이러스로 인해 중국으로의 운항을 중단하는 항공사도 많아졌구요. 이러한 공장들과 항공기 원유 수요가 줄어들어 당연히 수요 공급 논리로 유가는 급락을 맞이하였구요. 세상이 무너지면 금이나 인버스, 채권을 투자하면 되는것처럼 어떤 상황에도 투자방법은 있기마련입니다. 블랙크리스마스 이후 유가 최저치 유가는 2018년 블랙크리스마스 이후 최저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최근 종료된 OPEC+ 회의에서는 원유 감산에 대한 기대감으로 살짝 반등하는듯 하였으나 러시아의 반대로 인하여 원유 생산량 추가 감산 계획이 무마되었구요. 유가가 계속 하락할지 반등할지는 섣부른 추측이라고 생각합니다. 유가 하락으로 인하여 에너지섹터는 2월7일 장마감 기준 최근.. 2020. 2. 9.
[미국 주식] 핀터레스트 Pinterest 깜짝 실적 예상치 파괴 개인적으로 이번 실적발표에서 기대하던 핀터레스트가 깜짝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글로벌 유저 증가는 견고했고 광고매출의 성장으로 시장의 예상치를 대폭 상회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매출 : $400M vs $371.53M (컨센서스) EPS : $0.12 vs $0.08 (컨센서스) 2020년도 매출 가이던스 : $1.52B vs $1.5B (컨센서스) 매출과 주당순이익, 향후 가이던스까지 모든게 다 시장의 예상치를 깨버리는 깜짝 실적이었습니다.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46%의 성장을 보여주었고 인터내셔널부문에서 202%라는 초고속 성장을 보였습니다. 핀터레스트의 월간 활성화 사용자수는 미국외 지역에서 견고한 성장을 보여 전년동기대비 26% 성장한 총 3억3500만명 이라는 월간 활성화 사용자수를 보유하게 되.. 2020. 2. 7.
[미국 주식] 펠로톤 Peloton 기대 이상 실적 가이던스 기대 이하 2019년엔 정말 많은 유니콘기업들의 IPO가 있었습니다. 우버, 리프트, 핀터레스트, 슬랙, 줌비디오, 비욘드미트, 루이싱커피 등 정말 많은 유니콘들이 상장을 하였죠. 펠로톤은 작년에 상장한 운동과 테크를 결합한 유니콘 기업입니다. 성장주 투자에 관심이 많으신 분들이라면 아실지도 모르겠네요. Peloton 운동계의 넷플릭스 펠로톤은 '운동세계의 넷플릭스' 라는 별명을 갖고 있는 기업입니다. 위의 사진과 같이 바이크와 트레드밀을 이용하며 화면에 나오는 클래스들을 월 $12.99의 멤버쉽에 다 시청가능합니다. 실제 후기를 들어보면 집에서 이용하면 소음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나 소음이 없다고 하며 미국의 유명 트레이너들의 강좌를 다 모아두어 정말 컨텐츠가 다양하다고 합니다. 라이브 강의를 들으며 펠로톤 커뮤.. 2020. 2. 6.
[미국 주식] 디즈니 실적 기대 이상 디즈니+ 구독자 강력 증가 미디어 컨텐츠 공룡 디즈니의 실적발표가 있었는데요. 기대이상의 실적을 보여주는 모습이었습니다. 디즈니+가 론칭되고 첫번째 실적발표였죠. 매출 : $20.8B vs $20.7B (컨센서스) EPS : $1.53 vs $1.46 (컨센서스) 디즈니+ 구독자수 : 2650만명 vs 2080만명 (컨센서스) 디즈니+의 구독자수증가는 단 3개월만에 정말 엄청난 증가를 보여주었습니다. 매출은 작년도 21세기 FOX 인수가 있었기에 전년동기대비 상당히 증가를 하였으나 인수비용을 갚아나감과 함께 디즈니+의 투자로 인해 전년동기대비 비용은 증가한 모습입니다. 디즈니의 Free Cash Flow는 현재 디즈니+ 컨텐츠 제작에 현금을 태우는 단계입니다. 현재까지 넷플릭스를 포함한 모든 OTT 기업들이 현금을 불태우는 단계이.. 2020. 2. 5.
[미국 주식] 구글 알파벳 실적 매출 저조 FAANG, MAGA 라 불리우는 미국 빅테크 기업들의 이번 실적 발표가 알파벳을 마지막으로 끝났습니다. 알파벳의 기대감은 정말 엄청 나서 매출 EPS 연 20%대 증가를 기대하는데요. 매출이 살짝 저조한 모습이었습니다. 매출 : $46.08B vs $46.94B (컨센서스) EPS : $15.35 vs $12.53 (컨센서스) 매출은 기대치에 하회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주당순이익은 서프라이즈를 보여주었습니다. 알파벳은 강달러로 인한 환율때문에 매출을 맞추지 못하였다는 이야기도 있지만 환율은 차치해야할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구글의 연 20% 성장이 깨졌습니다. 구글의 광고는 전년동기대비 17%, 페이스북의 광고는 전년동기대비 25%, 아마존은 41%의 성장을 보였습니다. 물론 광고점유율로만 보면 구글이 압.. 2020. 2. 4.
[미국 주식] 콜게이트 Colgate Palmolive 실적 발표 기대치 충족 세계 1위 치약 점유율 콜게이트 미국 주식을 투자하는 분들께서 이 기업은 한번쯤은 들어보셨을지 모르겠습니다. 바로 콜게이트 팜올리브 (Colgate-Palmolive) 인데요. 1806년에 창립한 회사이며 세계 최초의 튜브형 치약을 만든 기업으로 유명하죠. 200년이 넘는 정말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기업입니다. 콜게이트 치약이 역시 가장 유명한 제품인데요. 그 점유율이 어느정도냐면 전세계 두 가구 중에 한 집은 콜게이트 제품을 사용하는 수준입니다. 동산업내 코카콜라의 점유율이 40%대인데 콜게이트의 점유율이 60%수준인건 엄청난 인지도라 할 수 있습니다. 작년 8월 콜게이트가 드디어 한국에도 진출하였다고 하는데 한번 구매해서 이용해봐야겠습니다. 제품 구성도 치약뿐아니라 세제, 섬유유연제, 애완동물 사료 .. 2020. 2. 3.
[미국 주식] 비자 VISA 카드 실적 발표 너무 높은 기대감 글로벌 1위 카드결제서비스기업 Visa의 기대감이 너무 높았던 것일까요? 시장의 기대치를 항상 상회하던 모습이었으나 시장의 기대치에 딱 들어 맞았다고 실망스럽다는 의견이 많네요. 그만큼 성장성이 대단한 기업이라는걸 방증하는거라고 봅니다. 매출 : $6.1B vs $6.08B (컨센서스) EPS : $1.46 vs $1.46 (컨센서스) 가이던스 : 전년동기 10%이상의 매출 증가, 10%중반대의 EPS 증가 $2.3B 규모의 자사주매입 실적을 자세히 살펴보면 Client incentives가 평소엔 10%대 증가를 하였으나 20%대의 증가를 보였습니다. 클라이언트 인센티브는 비자가 비자카드를 발급해주는 파트너 은행들에게 지급하는 비용인데요. 이번 실적에서 이것이 상당한 수치로 증가한 모습이 우려 요인으로.. 2020. 2. 2.
[미국 주식]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D램 가격 상승세 1월 31일 SK하이닉스의 실적발표가 있었습니다. SK하이닉스의 실적발표를 보시면 전년동기대비해서 매출과 영업이익이 급감했습니다. SK하이닉스의 이번 실적은 컨센서스를 하회하는 모습까지 보였는데요. 하지만 긍정적으로 보이는 부분은 지난 2분기를 바닥으로 매출이 회복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마이크론테크놀로지 또한 SK하이닉스와 흡사한 사업모델을 갖고 있는 메모리반도체 기업입니다. 그러다보니 자연스레 SK하이닉스, 마이크론, 삼성전자 실적은 함께 봐줘야 합니다.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주가흐름 마이크론 테크놀로지의 주가 흐름을 한번 보겠습니다. 지난 12월을 기점으로 주가가 급격히 상승하던 모습이 보일텐데요. D램 평균가격을 나타내는 DXI지수의 흐름을 보시면 12월을 바닥으로 가파른 상승을 보이고 있습니.. 2020. 2. 1.
[미국 주식] 아마존 실적 화려한 부활 1조 달러 클럽 재진입 아마존이 화려한 부활을 하였습니다. 홀리데이 쇼핑시즌 역대 최고 매출액을 기록했다는게 사실이었습니다. 규모의 경제가 실현되어 비용보다 이익이 훨씬 증가하였구요. 여담으로 또 다른 유통 공룡 타겟의 경영진은 실망스러운 쇼핑시즌을 보냈다고 하였었죠. 다시 한번 Death By Amazon의 공포가 떠오르기도 합니다. 매출 : $87.4B vs $86.17B (컨센서스) EPS : $6.47 vs $4.11 (컨센서스) Q1 2020 매출 가이던스 : $69B ~ $73B, 전년동기대비 +16% ~ +22% Q1 2020 영업활동 현금흐름 가이던스 : $3B ~ $4.2B, 전년동기 $4.4B (서버 증설비용 증가가 수반된 가이던스) 정말 어마어마한 어닝서프라이즈입니다. EPS 컨센서스를 10%~20% 상회하.. 2020. 1.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