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국 주식/미국 투자 전략

[미국 주식] 이보쿠아 워터 테크놀로지 Evoqua Water Technologies 심각해지는 기후 위기, 물에도 관심이 필요한 시점

by 세다주 2021. 8. 15.
반응형

기후 재앙 - 인류를 향한 경고

 

남유럽 일대가 불타고 있습니다.

그리스 에비아섬 일대를 불태워버린 산불, 터키 남부를 불태워버린 산불은 주변 국가들의 지원으로 현재는 큰 불길을 잡는데 성공했는데요.

하지만 수 많은 이재민이 발생한 것은 물론이고 팬데믹 이후 관광업 회복이 나타나고 있던 찰나 산불이 발생하며 다시 한번 해당 지역 관광업은 큰 타격을 입었습니다.

또한 터키에서는 산불 진화를 하던 소방 항공기가 추락하여 군인들이 순직하는 안타까운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이러한 대규모 산불의 원인은 기후변화에 있습니다.

북아프리카에서 불어오는 뜨거운 공기와 지구 온난화로 인한 살인적인 폭염과 건조한 날씨가 지속되며 이전보다 빈번하게 산불을 발생시키게 된 것이죠.

 

자연의 복수는 산불에 그치지 않았습니다.

남유럽 일대가 불타는 동시에 독일, 벨기에를 비롯한 서유럽 일대와 터키 북부 지역에서 최악의 홍수가 발생하며 수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했습니다.

이번 홍수의 원인으로 전문가들은 기후 변화를 꼽고 있는데요.

기후 변화로 인하여 기압 패턴이 변하다보니 대기 불안정이 이전보다 빈번하게 발생하며 예측할 수 없는 폭우가 쏟아지고 있는 양상입니다. 

 

자료 : Reuters

UN 산하의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는 얼마 전 보고서를 통해 지구 온난화는 현재 통제할 수 없을 정도로 심각한 상황에 처했고 인간에게 명백한 책임이 있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또한 보고서에서 기후 변화로 인한 폭염, 홍수, 초대형 허리케인 등 기후 재앙은 더욱 심해질 것이라 경고하였고 기후 변화를 늦출 시간이 촉박하다고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UN 사무총장은 이번 보고서가 '인류를 향한 코드 레드'라고 표현하며 기후 변화에 경종을 울리고 있는데요.

 

이에 따라 각국 정부에서는 기후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노력을 더 늘리려 계획하고 있습니다.

그리스 정부에서는 이번 산불을 '기후 재앙'이라 규정하고 '기후 위기 대응을 위해 모든 것을 바꿔야 한다'고 언급하며 기후 위기 대응에 총력을 다할 것을 밝혔고 독일의 메르켈 총리 역시 기후 변화 대응 가속화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또한 독일은 다음달 26일 총선에서 지난 16년을 책임졌던 앙겔라 메르켈 시대(기민당)를 떠나보낼 예정입니다.

메르켈 총리는 지난 2020년 이번 임기를 끝으로 퇴임을 선언하였는데요.

현재 차기 독일 총리는 녹색당의 아날레나 베어보크 대표가 유력한 상황이기에 환경 정책을 중요시 여기는 녹생당이 집권하는 차기 독일 정부를 필두로 EU에서는 기후 변화 대응에 총력전을 펼칠 가능성이 높습니다.

미국에서도 기후 변화 대응 예산안을 이번 인프라 투자안에 포함시켰는데요.

어떤 내용이 인프라 투자안에 포함되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인프라 투자안에 포함된 기후 변화 대응

 

이번 인프라 투자안에 포함된 기후 변화 대응 예산은 위와 같습니다.

 

  • 환경 정화 : 버려진 유정과 버려진 광산, 슈퍼펀드 사이트(Superfund site, 1980년 제정된 정화가 필요한 미국의 오염된 지역)를 정화하는데 $21B를 투자.
  • 전력 인프라 : 화석 연료에서 청정 에너지로 전환하는데 $73B를 투자하여 원자력, 탄소 포집 및 수소 기술 연구.
  • 수자원 인프라 : 기후 변화로 인한 가뭄 및 홍수로부터 보호와 웨더라이제이션(Weatherization, 강한 햇빛, 폭우, 바람으로부터 건물을 보호하고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주택 개선 프로그램)에 $50B를 투자.
  • 깨끗한 물 : 깨끗한 식수 공급을 위해 美 전역의 납 파이프와 서비스 라인 교체에 $55B를 투자

이 외에도 전기차 및 전기 버스 인프라에 $15B를 투자하는 계획이 이번 인프라 투자안에 포함되었고 이번 $1.2T 규모의 인프라 투자안과 별개로 $3.5T 규모의 기후변화 대응 및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한 예산안이 상원을 통과하며 기후변화 대응에 막대한 투자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자료 : CNBC

빌 게이츠 역시 이번 인프라 예산안이 통과되면 기후 변화 대응 프로젝트에 $1.5B를 지원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빌 게이츠는 자신의 기후 변화 투자 펀드인 'Breakthrough Energy'를 통해 향후 3년간 탄소 제로 비행기 연료, 장시간 에너지 저장, 녹색 수소와 같은 탄소 배출 감소 기술에 투자를 할 것이라 밝혔는데요.

 

이처럼 세계 각국 정부와 주요 인사들이 기후 변화 대응의 중요성을 이야기하며 구체적인 해결 방안을 내놓고 있는 현 시점 투자자들은 친환경 기업에 대한 투자를 반드시 고려해야만 한다 판단하고 있습니다.

전기차, 태양광, 식물성 제품 등 수 많은 친환경 비즈니스 기업들이 존재하고 있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친환경 비즈니스에서 상대적으로 간과되고 있지만 어쩌면 가장 중요할 수 있는 '물'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한정된 자원인 물에 대한 관심을 

 

자료 : 전 세계 물 시장 규모와 전망

전 세계 물 시장 규모는 연 평균 4% 수준의 성장으로 가파른 성장세는 아닙니다.

하지만 그 시장 규모는 투자자들이 열광하는 반도체 시장 규모보다 훨씬 큰 규모입니다.

인구 증가, 환경 오염, 기후 변화로 인한 가뭄, 난개발, 대규모 공장 건설로 인하여 전 세계적으로 물 부족 문제는 심화되고 있으며 깨끗한 물에 대한 수요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따라서 물 산업은 세계적으로 각광 받고 있으며 각 국가들은 관련 산업에 지속적인 지원을 펼치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의 물 시장 규모는 전 세계에서 가장 압도적인데요.

투자의 기본은 가장 큰 총 유효 시장(TAM)을 보유하고 있는 국가에 성장하고 있는 산업에서 뛰어난 점유율을 보이고 있는 기업에 장기간 투자를 하는 것이라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투자 지침에 기반하면 미국 내 물 관련 기업에 대한 투자의 필요성을 알 수 있다 판단하고 있는데요.

수 많은 기업이 존재하지만 이번에 언급할 기업은 상대적으로 잘 알려지지 않았으나 수도 인프라 투자를 통해 큰 수혜를 얻을 수 있다 판단하고 있는 기업, 이보쿠아 워터 테크놀로지스(Evoqua Water Technologies)입니다.

 

 

깨끗한 물에 대한 투자 - 이보쿠아 워터 테크놀로지 Evoqua Water Technologies

 

이보쿠아 워터 테크놀로지(Evoqua Water Technologies)는 2013년 글로벌 복합기업 지멘스(Siemens)의 물 관련 사업부가 미국의 사모펀드에 넘어가며 설립된 기업으로 2017년 증시에 상장하였습니다.

어떻게 보면 오랜 역사를 가진 기업이 아니라 생각할 수 있지만 이보쿠아 워터 테크놀로지는 기존 지멘스 소속으로 150년이 넘는 비즈니스를 펼쳤기에 그 어떤 기업들보다도 비즈니스 역사가 깊다 볼 수 있습니다.

 

이보쿠아 워터 테크놀로지는 오랜 비즈니스 경험을 바탕으로 수 많은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글로벌 수처리 솔루션 기업입니다.

수처리 솔루션이라하면 각자 떠올리는 비즈니스가 다를 것이고 가장 쉽게 떠올릴 수 있는건 위와 같은 하수 처리장일지 모르겠는데요.

이보쿠아는 하수 처리장에서 사용되는 여과기를 제조하기도 하지만 이 외에도 다양한 산업에서 사용되는 물 관련 제품들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자료 : Evoqua Water Technologies

이보쿠아는 위 자료에 나오는 것처럼 군수, 항공, 수산 양식, 수영장, 건설, 식음료, 헬스케어, 채광, 정유, 발전소 등 모든 산업군에서 비즈니스를 펼치고 있습니다.

모든 산업군에서 비즈니스를 하는 이유는 간단합니다.

어떠한 산업이던간에 물이 필수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이죠.

수산 양식과 수영장에서는 자외선 살균기, 오존 살균기와 같은 물을 정화하는 장치가 필요하고 식품업에서는 음료를 만들때 기본적으로 깨끗한 물이 필요하기에 물을 관리할 수 있는 장비들이 필요합니다.

또한 각종 제조 산업과 건설업에서 발생하는 폐수를 처리하고 재활용하기 위한 장비들이 필요하며 막대한 양의 물을 가열하여 사용하는 발전소에서는 물을 관리하기 위한 솔루션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수 많은 산업에서 사용되는 PFAS(과불화옥테인술폰산)가 발암물질을 함유하고 있는데 지속적으로 상수도에 유출되고 있는 상황이라 깨끗한 식수를 위협하고 있습니다.

안전하고 깨끗한 식수를 마시기 위해서는 PFAS를 여과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합니다.

전 세계 물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해수담수화 기술도 필요한 상황입니다.

 

이처럼 모든 산업과 물은 뗄레야 뗄 수 없는 사이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모든 산업에서 사용되는 물 관련 비즈니스 솔루션을 이보쿠아 워터 테크놀로지가 제공하고 있기에 해당 기업에 관심을 가져볼 필요가 있다 판단하고 있습니다.

 

 

이보쿠아 워터 테크놀로지 Evoqua Water Technologies 실적

 

자료 : Evoqua Water Technologies

이보쿠아 워터 테크놀로지는 지난 7월 말 FY2021 Q3 실적 발표를 하였습니다.

물 산업 성장 속도 자체가 가파르지 않기에 매출, 이익 성장치는 가파르지 않은 모습입니다.

3분기 매출은 $369M로 전년 동기대비 6% 성장한 모습이긴 하나 인건비 상승으로 인하여 순이익은 감소하였다고 이보쿠아는 밝히고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시장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였고 EBITDA 마진 역시 감소하며 썩 뛰어난 분기 실적은 아니었습니다.

그래도 운전자본이 시간이 흐를수록 감소하고 있어 이 점은 비용 관리 측면에서 긍정적이라 볼 수 있습니다.

 

자료 : Evoqua Water Technologies

이보쿠아의 사업부는 제품 판매 및 설치 부문인 Applied Product Technologies(APT) 부문과 서비스 부문인 Integrated Solutions and Services(ISS)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APT 부문은 제품 가격 상승 및 환율 변동을 바탕으로 전년 동기대비 9%의 매출 성장이 나타났습니다.

하지만 인건비 상승으로 인하여 EBITDA 마진율이 감소하는 아쉬운 모습이 나타났고 글로벌 운송망 문제가 여전히 나타나고 있다 밝히고 있어 약간 아쉬움이 남는 모습입니다.

 

자료 : Evoqua Water Technologies

제품 판매 이후 반복 매출을 발생 시키는 솔루션 및 서비스 부문인 ISS 부문입니다.

서비스, 솔루션 매출은 판매량 증가와 가격 상승을 바탕으로 매출 성장이 나타났으며 EBITDA 마진 역시 개선되는 긍정적인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앞서 제품 판매 부문인 APT 비즈니스는 이보쿠아의 총 매출에서 약 35%를 차지하고 있는 비즈니스이며 서비스, 솔루션 부문인 ISS 비즈니스 부문의 매출 비중이 65%로 대부분을 차지하기에 해당 부문의 성장에 중점을 두면 되겠습니다. 

 

자료 : Evoqua Water Technologies

특히 솔루션 및 서비스 부문 수주 잔고는 연평균 20%의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는데요.

수주 잔고가 안정적으로 성장하고 있다는 점과 추후 기후 변화 인프라 관련 투자를 통해 수주량이 더 크게 증가할 수 있다는 점을 바탕으로 이보쿠아 워터 테크놀로지의 안정적인 매출 성장을 기대할 수 있겠습니다.

 

자료 : Evoqua Water Technologies

이보쿠아의 2021년 가이던스 입니다.

약 $1.45B의 매출을 예상하며 2020년과 흡사한 수준을 전망하며 실망감이 있는데요.

하지만 근소한 EBITDA 수익 증가를 전망하며 긍정적인 요소도 존재한다 볼 수 있습니다.

 

자료 : Evoqua Water Technologies

개인적으로는 숫자로 나타나는 가이던스보다 위 전망 자료가 더 중요하다 보고 있습니다.

글로벌 경제가 워낙 막강하다보니 다음 분기에 화학 산업과 수영장 산업을 제외한 모든 산업에서 이보쿠아의 제품 및 솔루션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데요.

금번 실적은 약간 실망스러운 면이 분명 존재하였으나 위 자료를 바탕으로는 하반기 기대감이 큰 상황입니다.

또한 기후 대응 인프라 투자는 물론이고 상하수도 교체를 위한 투자에 $55B가 할당되었으니 이를 통해 이보쿠아의 관련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가능성 역시 크다 볼 수 있구요. 

 

 

No PFAS 시대, 수처리 과정에 혁신이 온다.

 

마지막으로 주목해야할 PFAS 이슈입니다.

앞서 언급한 PFAS(Polyfluoroalkyl Substances, 과불화옥테인술폰산)가 국내에서는 크게 이슈화 되지 않지만 미국에서는 오래 전부터 큰 이슈였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조리기구, 방수성 직물, 식품 포장재, 건축, 반도체, 항공 등 모든 산업군에서 사용되고 있는 PFAS는 발암물질과 유사한 특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요.

이에 따라 음식과 상수도는 물론이고 사람 체내 혈청에서도 PFAS가 쉽게 검출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따라서 얼마 전 美 의회에서는 2030년부터 PFAS를 금지하는 법안을 통과시켰으며 2023년부터는 불가피한 사용을 제외하고 의도적으로 PFAS가 첨가된 제품은 판매에 앞서 주 당국에 알려야만 합니다.

 

자료 : Evoqua Water Technologies

그리고 이번 인프라 투자안에서도 PFAS에 관한 언급이 있었습니다.

물에 남아있는 PFAS를 처리하는 것은 오랫동안 의회에서 주요 의제로 논의되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10B의 자금 지원이 이번 인프라 투자안에 포함되었습니다.

주(State) 내에 깨끗한 물을 공급하기 위한 폐수 문제를 해결 하기 위해 $1B를, 식수 내에 남아있는 PFAS 문제 해결을 위해 $4B를, 새로운 소규모 오염물질을 해결하기 위해 $5B를 투자한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정책적 지원을 바탕으로 이보쿠아 워터 테크놀로지는 PFAS 문제를 해결하는데 앞장설 것이고 연구개발을 통해  PFAS 처리 기술에 혁신을 이뤄낸다면 이를 바탕으로 추후 막대한 수익을 올릴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바입니다.

 

 

Evoqua Water Technologies 이보쿠아 워터 테크놀로지 AQUA 주가 및 개인적 의견

 

자료 : Finviz

이보쿠아 워터 테크놀로지는 강한 수요 증가 전망과 상하수도 인프라 투자 계획을 바탕으로 사상 최고가 랠리를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비즈니스 모델은 물론이고 환경에서 가장 중요한 물에 대한 비즈니스를 펼친다는게 상당히 매력적이며 티커 또한 물 그 자체인 AQUA라는 점 역시 인상적입니다.

이보쿠아의 시가총액은 13일 종가 기준 $4.5B로 큰 기업은 아니라 변동성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중소형주 매매를 선호하고 있는데 이보쿠아의 경우 추후 펀더멘털 개선 가능성이 높다 판단되고 있어 꽤 매력적이라 보고 있습니다.

또한 이번에 공부를 하며 PFAS 이슈를 알게되었고 이를 해결할 기술이 필수적이기에 이보쿠아와 같은 기업에 기대를 걸 수도 있는 상황이구요.

해당 기업은 현재 주주가 아니지만 8월 내에 추가적인 자금을 마련하여 투자를 할 계획에 있습니다.

 

자료 : Finviz

수자원 유틸리티 기업중에는 아메리칸 워터 웍스(American Water Works)를 가장 선호하고 있습니다.

국내 투자자들 대부분은 유틸리티 기업에 투자를 진행하지 않거나 대장주 넥스트에라 에너지(NextEra Energy)에 대한 투자를 선호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아메리칸 워터 웍스의 YTD 수익률이 넥스트에라 에너지를 상회하고 있을 정도로 아메리칸 워터 웍스 역시 뛰어난 기업이며 물에 대한 투자를 고려할때 해당 기업을 절대 빼놓을 수 없다 판단하고 있습니다.

 

자료 : Finviz

대표적인 물 ETF인 Invesco Water Resources ETF (PHO) 입니다.

PHO ETF는 YTD 기준 약 25%의 인상적인 수익률을 기록하며 올해 시장 수익률을 상회하고 있는 ETF입니다.

PHO ETF의 주요 편입 기업으로는 S&P500에 편입되어 있는 American Water Works, Xylem과 같은 수자원 유틸리티 기업, 수처리 전문 기업 Ecolab, 헬스케어 복합기업 Danaher가 주요 종목으로 편입되어 있습니다.

특히 PHO ETF의 최대 비중 종목인 다나허(Danaher)의 경우 물 관련 비즈니스보다 훨씬 큰 매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수술 장비 비즈니스 부문이 최근 글로벌 의료 수술 수요가 회복됨에 따라 강한 매출, 이익 성장이 나타나고 있는데요.

다나허의 강한 주가 상승세에 힘입어 PHO ETF 역시 긍정적인 주가 흐름이 지속되는 모습입니다.

 

또 다른 물 ETF로는 First Trust Water ETF (FIW)가 있는데 FIW ETF의 경우 구성 종목들이 수자원 유틸리티 기업보다는 수질 관련 헬스케어, 산업재 기업들이 주로 편입되어 있어 헬스케어 기업들의 높은 이익 성장 전망을 바탕으로 좀 더 높은 기대 수익률을 바랄 수 있겠으나 물 본연의 사업을 하는 기업들과는 약간 거리가 먼 기업들도 존재한다 보고 있어 물에 대한 투자에 집중하고 싶다면 PHO ETF가 더 나은 선택지가 아닐까 싶은 입장입니다.

 

ESG 트렌드에 따라 수 많은 투자자들은 친환경이라는 테마에 열광하고 있는데요.

전기차, 태양광, 식물성 식품 등 다양한 친환경 테마가 존재하는데 어쩌면 가장 기본적이고 가장 중요할 수 있는 '물'을 간과해서는 안되겠습니다.

 

 

[미국 주식] 아메리칸 워터 웍스 (AWK) 미국의 수자원공사

트럼프 행정부의 인프라 투자 도날드 트럼프 대통령의 주요 정책중 하나로 인프라 사업이 있습니다. 인프라 현대화는 트럼프를 부동산 업자, 대통령으로의 업적을 더욱 높여줄거라 생각하고 이

overseasmarket.tistory.com

 

[미국 주식] SEDG 솔라엣지 테크놀로지 SolarEdge 태양광 신에너지 바이든 관련주

가능성이 1%라도 바이든이 당선된다면? 2020년 올해는 11월 3일에 미국 대선이 있습니다. 대선이 있던 해는 역사적으로 항상 시장이 좋았는데요. 올해도 코로나 바이러스에도 불구하고 YTD 기준 S&P5

overseasmarket.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