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 + 패션 = Stitch Fix
스티치픽스는 빅데이터에 기반하여 소비자 맞춤형 스타일링을 제공합니다.
처음 가입할때 등록한 키, 몸무게, 허리둘레, 다리길이, 발 사이즈, 직업, 가격대, 원하는 스타일 등 상세한 정보 입력을 통해 초기 데이터를 형성하고 이를 통해 개인 맞춤 제품을 배송해줍니다.
추후 재구매시에는 반품된 제품 및 구매 확정 제품에 대한 피드백을 통해 알고리즘이 더 완벽한 고객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데요.
어떤 옷을 살까 고민하기 귀찮아하는 사람들과 쇼핑할 시간이 없는 사람들을 주요 고객으로 설정한 비즈니스라 보시면 되겠습니다.
[미국 주식] Stitch Fix 스티치픽스 빅데이터와 패션의 결합
Stitch Fix 스티치픽스 당신의 맞춤 코디 스티치픽스는 알고리즘과 빅데이터를 통해 예산, 스타일, 신체 치수에 따라 개인 맞춤형 스타일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입니다. 스티치픽스의 사업모델
overseasmarket.tistory.com
해당 포스팅에서는 스티치픽스의 비즈니스 모델보다는 금일 발표한 실적을 중점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스티치픽스의 좀 더 자세한 비즈니스 모델은 과거 포스팅을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스티치픽스 실적
스티치픽스의 실적에서 우선적으로 봐야하는 자료는 활성 고객(Active Clients)입니다.
활성 고객은 1년이내 스티치픽스에서 한번이라도 구매한 고객들을 일컫는데요.
이번 분기 스티치픽스의 활성고객은 376만명으로 성장세 둔화를 겪었던 작년과 달리 팬데믹 이후 다시 한번 성장세를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고객당 평균 매출(Net Revenue Per Active Client)은 $467를 기록하며 최근 1년중 가장 저조한 수치를 기록했는데요.
그럼에도 활성 고객 증가가 나타나 전반적인 매출은 증가한 모습입니다.
활성 고객, 매출, 순이익을 연속 분기로 보겠습니다.
올 상반기 팬데믹으로 인해 경제활동이 줄어들고 집에 있는 시간이 많아지다보니 새로운 옷 구매 필요성이 낮아져 의류 산업은 전반적으로 부진을 겪었었는데요.
하지만 경제활동이 재개되고 부양책이 지속적으로 나오며 의류 산업은 정상화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스티치픽스 역시 활성 고객 증가와 함께 다시 매출 성장을 기록하였는데요.
여전히 나이키를 비롯한 다수의 의류 기업들이 한 자릿수 초반의 매출 증가 또는 매출 감소를 기록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했을때 온라인 판매를 기본으로 하는 스티치픽스의 두 자릿수 매출 증가율은 상당히 고무적입니다.
특히 이번 분기 다시 순이익 흑자전환이 이루어졌는데요.
시장의 예상치는 여전히 순적자를 예상했으나 순이익을 기록하며 주가에 상당한 탄력을 붙이는 모습입니다.
스티치픽스의 가이던스입니다.
다음 분기 및 FY2021 가이던스가 상당히 고무적인 수준으로 제시되었는데요.
YoY 기준 두 자릿수의 매출 증가율은 물론이고 QoQ 대비해서도 지속적인 매출 증가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경영진은 Direct Buy 서비스 도입이후 스티치픽스에 대한 수요가 상당하다 밝히며 자신감을 표출하고 있는데요.
FY2021 가이던스 역시 역대 최대 매출을 예상하며 기업공개 이후 지속적으로 둔화된 성장률 역시 다시 크게 증가할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성공적으로 안착한 Direct Buy 서비스
스티치픽스의 호실적에는 지난 6월 말 론칭한 Direct Buy 서비스가 밑바탕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기존 스티치픽스는 스타일링된 제품을 배송해주는 서비스만 하였기에 옷을 직접 보고 구매하기를 원하는 고객들에게는 매력적인 구매처가 아니었습니다.
하지만 Direct Buy 서비스를 도입함으로 이제는 고객이 원하는 제품을 직접 구매할 수 있게 되었는데요.
해당 서비스 역시 빅데이터에 기반하여 기존 고객이 구매한 제품에 어울리는 코디 제품을 우선적으로 추천해주고 소비자는 추천 제품중에 선택해서 구매하면 됩니다.
스티치픽스 주주서한에 따르면 현재 스티치픽스에서 가장 인기있는 서비스는 기존 스티치픽스 박스 배송이 아닌 Direct Buy 서비스라고 하니 향후 지속적인 성장 기대감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Stitch Fix 스티치픽스 주가 및 개인적 의견
스티치픽스는 e커머스 기업이라하기 무안할정도로 올해 여타 e커머스 기업에 비해 저조한 퍼포먼스를 보였습니다.
하지만 올 6월 말 Direct Buy 서비스를 도입하며 유의미한 변화가 시작되었고 이번 실적 발표에서 향후 상당한 기대감이 형성되었습니다.
스티치픽스는 실적발표와 함께 After Market 거래에서 30% 이상의 갭상승을 보여주고 있는데요.
현재 실적도 순이익을 기록하며 시장의 기대 이상이었으나 FY2021 가이던스가 상당히 고무적이라 판단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현재는 스티치픽스의 주주가 아닌데요.
금일 갭상승 이후 뛰어난 가이던스에 근거하여 매수 의사가 있습니다.
'미국 주식 > 미국 기업 실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주식] TSMC 5나노 공정 시대, 역대 최대 투자 예고 (1) | 2021.01.14 |
---|---|
[미국 주식] 마이크론 테크놀로지 MU 돌아온 메모리 슈퍼 사이클 (0) | 2021.01.08 |
[미국 주식] 도큐사인 DocuSign 대안이 없는 비즈니스 (1) | 2020.12.04 |
[미국 주식] Daqo New Energy 다초 뉴 에너지 친환경은 시대의 흐름 (2) | 2020.11.24 |
[미국 주식] 다다넥서스 DADA Nexus 4분기 폭발적인 매출 증가 예고 (10) | 2020.11.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