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D닷컴5

[미국 주식, 홍콩 주식] JD.COM 징둥닷컴 전자상거래 춘추전국시대 중국의 21세기 E-Commerce 삼국지(三國志) 현재 중국의 전자상거래 시장은 중국의 역사 소설 삼국지(三國志)에 비견할 수 있겠죠. 알리바바, 징둥닷컴, 핀뚜어뚜어 위 3개의 기업이 중국 전자상거래 시장을 평정하고 있고 그 아래로 쑤닝이거우, VIPshop 등 다양한 전자상거래 기업들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중국의 전자상거래 기업뿐 아니라 남미의 메르카도리브레, 동남아의 Shopee, 한국의 쿠팡, 일본의 라쿠텐, 한국의 쿠팡 등 모든 전자상거래 기업들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이하여 구조적 성장을 이루고 있으며 현명한 투자자는 이미 전자상거래 기업들에 투자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월마트, 코스트코, 홈디포, 로스, 타겟 등 전통 리테일 기업들도 전자상거래로의 전환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개인적.. 2020. 8. 18.
[미국 주식, 홍콩 주식] 알리바바 BABA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알리바바 실적 알리바바 이제는 대한민국 뿐만 아니라 전 세계인이 아는 세계에서 인정하는 기업입니다. 알리바바, 텐센트, 삼성전자, TSMC는 팡맨이라 불리우는 미국의 빅테크기업에 견줄 수 있을정도로 경쟁력을 지닌 아시아의 자랑스러운 기업들이죠. 알리바바는 지난 금요일 실적발표가 있었고 COVID-19에 수혜를 얼마나 받았을지 살펴보겠습니다. 알리바바는 이번 분기도 어김없이 20% 이상의 매출 성장을 보였고 $16.1B의 매출을 기록하였습니다. 알리바바, 타오바오, 티몰과 같은 메인 판매채널 매출은 19% 성장을 하였고 클라우드 매출은 58% 증가하며 아마존 AWS, 구글 클라우드보다 빠른 성장속도를 보이고 마이크로소프트 Azure에 필적하는 성장 속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사실상 중국내에는 아마존, 마이크.. 2020. 5. 26.
[미국 주식] Pinduoduo 핀뚜어뚜어 핀둬둬 대세는 나야 Pinduoduo 핀뚜어뚜어? 핀둬둬? 정체가 뭐냐 미국에 FAANG이 있다면 중국엔 BAT(Baidu, Alibaba, Tencent)가 있다는 이야기 2016년~2017년경에 유행했던 이야기입니다. 여전히 알리바바, 텐센트는 잘나가지만 바이두는 경쟁에서 좀 뒤쳐지는 모습인데요. 경쟁에 뒤쳐지는 기업은 도태되고 그 자리에는 새로운 혁신 기업이 자리잡기 마련입니다. 현재 중국에는 BAT를 제외하고도 JD닷컴, 디디추싱, 바이트댄스, 핀뚜어뚜어, 콰이쇼우, 취타오티아오 등 막대한 기업가치를 보유한 유니콘 기업들이 즐비하고 있습니다. 그 중 핀뚜어뚜어는 현재 미국에 상장된 중국주식중 루이싱커피와 함께 가장 핫한 종목인데요. (루이싱커피는 중국기업 상장폐지 법안까지 불러일으킨 안좋은 의미의 가장 핫한 종목입니.. 2020. 5. 24.
[미국 주식] 비리비리 Bilibili 대륙의 유튜브 중국 애니메이션, 영상 플랫폼 비리비리 비리비리는 2018년에 상장한 대륙의 유튜브가 별칭인 중국 애니메이션, 영상 플랫폼 입니다. 애니메이션 기업답게 IPO 그림도 재밌네요. 중국은 사회주의 국가이다보니 평범한 생각으로는 상상하기 힘들지만 자국산업 보호명목과 사상통제로 인하여 외국 기업에게 쉽게 문을 열어주지 않는데요. 그래서 중국에서는 유튜브, 인스타그램, 우버, 넷플릭스 등 여러 인터넷 기업들의 진출을 막아놨습니다. 해외 기업 진출은 막으면서 본인들은 기술 약탈과 표절이 아니라고 말하지만 비리비리, 웨이보, 디디추싱, 아이치이 등 유튜브, 인스타, 우버, 넷플릭스를 카피한 플랫폼들이 존재합니다. 중국에서는 유튜브를 이용하려면 VPN을 이용해 해외 인터넷망을 우회 접속하여 이용하는 방법도 있지만 그냥.. 2020. 5. 19.
[미국 주식] JD닷컴 징둥닷컴 - 중국 e커머스 공룡 아마존, 타겟, 월마트, 코스트코, Shopify 등 전자상거래 기업에 관심이 많은데요. 세계의 소비 트렌드가 온라인쇼핑으로 이동해감에따라 투자도 트렌드에 걸맞게 해야겠죠. 전자상거래 성장에 따른 투자전략으로 아마존과 상당히 비슷한 사업모델을 보이는 JD닷컴을 눈여겨 보는데요. 징둥닷컴은 알리바바 다음가는 중국의 No.2 전자상거래 기업입니다. 알리바바는 저품질 짝퉁 논란이 많은 반면 징둥닷컴은 믿을 수 있는 이미지가 강합니다. 2014년엔 텐센트가 상당한 지분을 인수하여 텐센트 산하에 들어가게 되었죠. (현재 중국 전자상거래 3위에 위치한 Pinduoduo가 정말 유례없을 정도로 소위 미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나 텐센트가 보유한 Wechat의 힘으로 JD닷컴이 우위를 점할 수 있을것이라 생각해서 .. 2020. 1. 20.